본문 바로가기

Get Ready/미술사

한국미술사 8. 조선 말기 회화

728x90

19세기 조선 말기는 혼돈과 절망의 시기였다. 세도 정치 폐단으로 정치는 판단에 이르고 동학농민운동, 농민전쟁으로 사회체계가 흔들리고 있었다. 

청조 남종화풍의 자극을 받아 추사 김정희를 중심으로 문기, 서권기를 중시하는 남종화풍이 확고한 기반을 다지게 되었는데, 김정희와 그를 추종한 화가들은 사의를 존중하고 형사를 경시하는 남종문인화를 토착화시켰다. 반면 조선 토속적인 진경산수화와 풍속화는 쇠퇴하였고, 이 시대 확립된 남종화풍은 근대 현대화단에 이어져 줄기찬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말기 남종화의 절정을 이끈 이는 추사 김정희이다. 실학, 금석학으로 뛰어난 학자이자 서예가였던 김정희가 그린<세한도>(1844)는 남종문인화의 높은 사의의 경지를 잘 반영한 작품이다. 

사제간의 지조를 지켜준 이상적에 대한 고마움을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름에 비유하여 그려냈는데, 간결한 한채의 집과 엄숙하고 꼿꼿한 소나무, 잣나무, 배경은 대담하게 생략하고 표현하려는 지조의 상징만 간추려 나타낸 농축된 문기와 고매한 기품을 느낄 수 있다. 사의적 표현으로 문인화의 격조와 세련미를 구현해 낸 우리나라 문인화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김정희, <세한도>, 1844, 국보180호
김정희, <세한도 부분도>, 1844, 국보180호

 

 

 

 

조희룡, 허련, 전기 등의 여러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묵란을 유행시켜 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선비화가들이 이를 즐겨 그리게 했다. 

조희룡은 <매화서옥도>에서 묵운과 담채의 조화, 서예점인 점획과 감각적인 매화표현을 보여주었고, 허련은 <산수도>에서 필치가 거칠고 힘차면서도 담백함을 담아내었다. 전기는 <계산포무도>에서 관조의 세계가 투영된 여백, 맑고 한산한 한국적 정서와 미의식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을 그려냈다. 

 

조희룡, <매화서옥도>, 조선 19세기, 종이에 엷은 색, 106.1 × 45.1 cm, 간송미술관 소장
허련, <산수도>, 43 × 30.5cm
전기, <계산포무도>

 

 

 

말기에는 후기에 소개되기 시작한 서양화법이 좀 더 광범위하게 수용되어 화원들에 의한 의궤도, 기명절지도, 민화 등에 그 영향이 종종 나타나게 되었고, 김수철 <송계한담도>, 홍세섭 <유압도> 등은 남종화풍을 토대로 종래에 보기 드문 세련된 서구적 감각의 이색 화풍을 형성했다. 

 

김수철, <송계한담도>
홍세섭, <유압도>, 비단에 수묵, 119.5x47.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마지막으로 조선말기 위축되는 회화 상황에서 한줄기 빛을 발하여 맺어진 열매가 바로 오원 장승업이다. 장승업은 중국회화와는 다른 화풍 즉, 남종화와 북종화를 결합한 독특한 화풍을 이뤄냈다. 호방한 필묵법과 정교한 묘사력, 생기 넘친 작품 등 뛰어난 기량을 지녔던 장승업은 인물, 산수, 화조, 기명 등 다양한 화제를 능란하게 다루었는데, <삼인문년도>에서는 남종화와 북종화를 함께 그려, 흩어진 듯 짜임새 구성, 개방된 공간, 특이한 형태와 색채 감각, 기를 넣은 인물표현, 능숙한 기량이 장승업만의 대가다운 실력을 엿볼 수 있다. <쌍치도><호취도> 등의 화조영모화에서도 힘차고 능숙한 필묵법과 화사한 담채의 개성 넘치는 화풍을 보여주며, <도연명애국도><왕희지관아도>에서는 김홍도 신선화법, 청의인물화법 등 다양한 요소를 충분히 소화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장승업의 화풍은 안중식, 조석진 등 후진들에게 영향을 미쳐 조선말기 회화전통을 현대화단으로 잇게 했다.

 

장승업, <삼인문년도>

 

장승업, <호취도>

 

 

장승업, <도연명애국도>, 지본채색, 128.8 x 31.7c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