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side Art & Life/보고 싶은 전시

movement in silence : 불완전한 아름다움

728x90

<무브먼트 인 사일런스 : 불완전한 아름다움>, 프리츠 한센 제공

 

덴마크 디자이너 아르네 야콥센의 역작인 백합꽃 닮은 '릴리 체어' 탄생 50주년 기념하여 한국 공예작가 5명과 함께하는 <무브먼트 인 사일런스 : 불완전한 아름다움> 전시를 열리고 있습니다. 

 

 

 

릴리 체어는 덴마크의 건축가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아르네 에밀 야콥센의 마지막 역작입니다. 기능주의적 건축과 제품 디자인으로 유명한 그는 얇은 합판과 금속을 구부려 자연에서 발견한 유기적인 형태를 구현하는 것을 즐겼는데요, ‘앤트’, ‘시리즈7’, ‘릴리’는 극단적인 간결성과 기능성을 보여주는 그의 연작으로 릴리는 그 중 마지막 의자 디자인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백합꽃의 유려한 곡선이 모티프입니다.  

 

 

올해는 야콥센의 릴리 체어가 탄생한지 50주년이 되는 해로 프리츠 한센은 나무·금속·도자 등 각각 다른 소재로 작업하는 5명의 한국 작가와 릴리 체어를 오마주한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선보입니다.      
전시 기획을 맡은 차정욱씨는 “각각의 다른 소재는 눈으로 보이는 차별점일 뿐,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고요함 속의 작은 움직임’으로 설명되는 한국적인 정신”이라며 “조형적으로 화려하기보다 실험적인 공예정신을 가진 20~30대 한국 작가들의 젊은 에너지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와 작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경원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하고, 다수의 국내외 레지던시를 경험한 후 현재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도예가 백경원손으로 행하는 가장 익숙한 제장방식과 손의 제어 범위 밖에서 벌어지는 제작 방식을 결합하여 하나의 결을 가진 자연의 형상을 선보입니다. 

아르네 야콥센의 릴리 체어가 가진 형태의 원천에 주목하며, 꽃을 연상시키는 의자의 상부 디자인에서 나아가 의자의 다리를 식물의 줄기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본래 형태를 유지한 의자의 상부는 3D 프린팅으로 구현하여 손의 압력이 오롯이 드러나는 핸드 빌딩의 질감을 패턴화하여 구축하고 있습니다. 

 

백경원, <WHITE CHAIR>, 2020, 점토, 옥수수 전분, 80 x 50 x 50 cm, *테크니컬 디자인. 류종대, 프리츠 한센 제공

 

<WHITE CHAIR> 제작 과정

 

 

윤라희

금속, 섬유, 도자, 목공을 아우르는 넓은 영역의 공예를 전공하고, 2017년 스튜디오를 열어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윤라희는 서울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이자 작가입니다. <Block Chair>는 수작업으로 염색한 조각들을 투명한 블록 속에 담아 오묘하게 번지는 깊은 파장을 만들어 내는 ‘Block’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아르네 야콥센이 개척한 평범한 재료의 전화(轉化)와 실험성, 단순한 형태에 영감을 받아 지금까지 축적해 온 아크릴에 관한 실험적 기술과 표현을 함축적으로 정제하여 보여줍니다. 얇고 짙은 파랑의 꽃잎을 가진 아프리카 백합 Agapanthus을 원시적이고 추상적으로 표현하며 아르네 야곱센의 서정적 맥락을 이어갑니다.

 

윤라희, <BLOCK CHAIR>, 2020, 아크릴 Acrylic, 83 x 54 x 49 cm, 프리츠 한센 제공

 

<BLOCK CHAIR> 제작 과정

 

 

르동일

본명은 이동일로, 디자이너이자 스튜디오 언라벨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입니다. 50년 전 아르네 야콥센이 릴리 체어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던 순간의 잠재적인 불완전한 상태의 릴리 체어를 그려냅니다. 원시적인 제작 방식을 떠올리며 오래된 가공법인 주물 기법을 택했고, 제작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긴 표면의 자국과 의자 둘레에 고착된 알루미늄 덩어리들이 거푸집의 흔적을 드러내며 굳어 불완전한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완벽성을 지닌 원형을 유보하고자 바디 (의자 앉는 부위)를 잘라내며 이를 릴리 체어에 잉태 된 완벽성에 대한 잠재적 힌트로 남기고 있습니다.

 

르동일, <Primeval Chair>, 2020, 알루미늄, 83 x54 x 49 cm, 프리츠 한센 제공

 

<Primeval Chair> 제작 과정

 

임정주

임정주는 물건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디자이너이자 작가입니다. 시각 디자인과 제품 디자인을 공부하며 나무, 금속, 유리섬유 등 다양한 소재의 물성과 제품에 대한 이해를 쌓았고, 이를 기반으로 2015년 디자인 스튜디오 ‘물건연구소’를 열어 그릇, 조명, 가구와 같은 생활 속 사물을 디자인하며 형태에 따른 사용자와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임정주의  <Volume Chair>는 점, , 면에 임의의 축을 설정하고 입체 도형으로 만드는 그간 작업 활동의 연장선에 있습니다나무를 집성하고 깎아내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묵직한 형태는 릴리체어 본연의 유려한 곡면을 내재하고 있어, 감각적으로 발견해 나가길 제안합니다.  

 

임정주, <VOLUME CHAIR>, 2020, 물푸레나무, 93.5 x 60.5 x 60 cm, 프리츠 한센 제공

 

<VOLUME CHAIR> 제작 과정

 

재료

재료Jaeryo는 흙을 다루는 김누리와 펄프를 다루는 오상원이 설립한 스튜디오로 작은 오브제부터 가구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작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Paper Chair>아르네 야콥센이 자신의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제작 과정에서 거쳤을 반복적 연습과 시도의 과정을 은유적으로 해석하며 형태와 제작 방식에 대입합니다. 골격을 세운 후 펄프를 얇고 고르게 발라 건조해가며 형태를 구축하고, 습한 환경에서 시간을 두고 옻칠해 완성합니다. 부드럽고 유연한 물성의 두 재료가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적층되어 완결된 형상을 갖추게 됩니다.

 

재료, <PAPER CHAIR>, 2020, 파피에마쉐, 옻칠 Ottchil  (Lacquered) on  Papier-mâché, 80 x 52 x 53 cm, 프리츠 한센 제공

 

<PAPER CHAIR> 제작 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