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side Art & Life/후 이즈 Who is

경계인의 건축, 이타미 준 . Itami Jun

728x90

자연, 사람, 공간의 조화를 중시하는 재일동포 건축가 이타미 준(Itami Jun/ 伊丹潤)은 프랑스 예술문화훈장과 아시아 문화환경상, 무라노도고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건축가입니다. 말년에 진행한 제주도의 핀크스 비오토피아, 포도호텔, 방주교회는 이타미 준 건축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은 건축으로는 도쿄의 ‘인디아 잉크하우스’, 홋카이도 고마코 마이의 ‘석채의 교회’ 등이 있습니다. 

 

이타미 준 Itami Jun(1937~2011)

 

 

이타미 준, 그의 본명은 유동룡입니다. ‘이타미 준’은 유동룡의 예명으로, 조선인으로 많은 차별을 받던 시기에 일본으로 귀화하지 않고, 일본에서 건축 사무소를 내기 위해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타미 준이란 이름은 그가 해외에 나갈 때 처음 이용한 공항 이타미와 일본에서 깊은 교류를 나눈 작곡가 길옥윤과 같은 한자인 준[潤]을 써서 한국 사람, 일본 사람을 떠나 세계인으로 살겠다는 다짐을 담아 만들었습니다. 

 

일본에서 그는 언제나 유동룡이었지만 한국에서는 이타미 준으로 불린 재일동포 2세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는 한국에서도 일본에서도 이방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타미 준이 예술가로서, 개인으로서 뿌리내리고 있는 곳은 언제나 한국이었습니다. 조국에 대한 그리움으로 찾은 한국 여행에서 그는 한국의 고미술과 예술품이 지닌 기품과 온화함에 매혹되었습니다. 조선의 민화와 달 항아리, 가구와 소품을 수집하며 한국의 미에 대한 심미안을 발전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는 어느 누구보다 조선의 예술에 애정을 보인 건축가였습니다. 

 

그는 일본 건축에서 자연과 대화를 나누는 방법과 무(無)의 느낌을 익혔다면 한국 건축에서는 자연과 공존하는 중용사상과 멋이라는 정신적인 깊이, 은은한 온기와 소박함을 배웠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경계에 서 있기 때문에 더 강렬하게 뿌리를 의식할 수 있었던 이타미 준의 태도는 결과적으로 그의 건축에 한국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아내게 했습니다. 2003년 파리의 국립기메동양미술관에서 열린 개인전<일본의 한국 건축가, 이타미 준>은 이타미 준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냅니다.

 

 

영화 ‘이타미 준의 바다’는 사람에게 기꺼이 곁을 내준 자연을 대하는 건축가 이타미 준의 철학을 만날 수 있는 다큐멘터리입니다. 벚나무 두 그루 때문에 재건축 계획을 변경해 완공한 ‘먹의 공간’, 주변 지역의 돌과 흙으로 만든 벽돌로 쌓아 올린 ‘온양미술관’을 통해 건축이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지역성과 조화를 이루길 바랐던 이타미 준의 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 건축 열정을 불태웠던 제주도에 수, 풍, 석 미술관과 방주교회는 늘 한결같이 자연을 존중했던 한 건축가의 일관된 태도가 담겨 있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행동하는 건축가 '반 시게루'의 인터뷰가 꽤 인상적입니다. 

 

“이타미 선생께서는 언제나 자신의 손으로 무언가를 만지고 재료를 확인하곤 했습니다. 자연 소재를 좋아했던 분이므로 그런 의미에서 나와 통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건축가들은 여러 형태를 만들어내지만, 어떤 소재를 쓰느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 그는 정말로 말 못하는 재료들과 언제나 대화를 하면서 공간을 만들지 않았을까. 뭐 그런 분이셨습니다.”

 

반 시게루 <이타미 준의 바다 中>

 

 


 

이타미 준의 대표적인 건축물을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온양 민속 박물관

1982

 

이타미 준이 '흙으로 빚은 조형'이라고 한 구정아트센터(구 온양미술관 미술관)은 전통재료의 사용, 독특하고 다양한 공간적 체험, 지형과의 조화 등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건물입니다.

충청도의 낮은 돌담과 ‘ㅁ’자형 한옥에서 영감을 받아, 한옥 구조를 그대로 살리고 그 지역의 황토를 활용해 직접 만든 벽돌로 지은 공간. 전통적인 방식의 건축을 고민하며, 한국의 ‘미’를 살렸으나 일본의 ‘선’으로 오해 받았던 미술관입니다.

 

 

 

 

 

 

석채의 교회 

1991 

일본 홋카이도 토마코마이

 

이타미 준은 훗카이도 도마코마이시의 겨울 한파와 풍경에 꺾이지 않고 견디는 건축, 자연적인 건축을 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염원을 담아 ‘석채의 교회’는 돌을 쌓아 완성했습니다.

 

 

 

 

먹의 공간  / 먹의 집Ⅱ

1998 / 2006

 

처음엔 3층 빌딩으로 재건축할 계획이었는데 외부의 벚나무 두 그루가 건물과 조화를 이루며 마치 주인 같아 보인다고 판단, 교토에서 대나무를 공수하여 파사드로 사용하며 벚나무와 대나무의 건축으로 변경, 개조하였습니다. 계절에 따른 벚나무의 변화와,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색을 띠고 썩어가는 대나무를 통해 ‘시간의 집’을 짓는 이타미 준의 가치관을 보여줍니다.

 

 

 

도쿄 M빌딩

1992

긴자

 

 

 

포도호텔

2001

제주 서귀포시

 

핀크스 리조트 단지 안에 포도송이를 연상시키는 지붕 아래 제주의 전통가옥을 옮겨놓은 듯한 포도모양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제주의 독특한 자연환경인 오름과 제주 민가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발생적인 식물인 포도의 형상을 따서 설계한 호텔. 밖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는 낮은 레벨로, 안에서는 제주의 마을이 올레길을 따라 펼쳐지듯 건축되어 제주의 풍광과 어우러지며 은은한 아름다움을 뽐내는 건축물입니다.

 

포도호텔 제공

 

 

 

수풍석 뮤지엄

2004

제주 서귀포시 

 

이타미 준이 지향하는 바가 가장 잘 드러난 수풍석 뮤지엄은 미술품이 전시된 곳이 아니라 '명상의 공간으로서의 뮤지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천장이 뻥 뚫린 타원형의 미술관에서 열린 지붕을 통해 하늘을 바라보고, 그 아래 조용히 흐르는 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2015년부터 비오토피아*에서 대외 개방하여 운영중입니다.

비오토피아는 온천, 생태공원, 프라이빗 부대시설이 갖춰진 고품격 주거시설로, 이타미 준이 2008년 설계함

 

 

 

 

- 수

제주도를 상징하는 물이란 소재를 주제로 건축한 미술관으로, 사각의 강인한 입방체에 제주도 형상의 타원형을 도려내어 하늘의 움직임을 수면에 투영시켰습니다. 수변에는 이타미 준이 직접 골라 배치한 돌 오브제를 마치 벤치와 같이 놓아 두어 사람들이 그 돌에 앉아 무심(無心)이 되었으면 하는 그의 바람을 담아냈습니다. 수 미술관은 수풍석 뮤지엄 중 가장 인기가 많은 곳입니다. 

 

수풍석 뮤지엄 제공

 

 

- 풍 

오두막 개념으로 한쪽 입면이 활처럼 호를 그리는 나무 상자를 설계하여 나무판의 틈새로 바람이 통과하면 풀벌레 소리에 묻히는 산들바람부터 현을 문지르는 것 같은 강한 바람 소리까지 매번 다른 소리와 만날 수 있습니다. 제주의 바람을 담아 마음의 소리를 듣게 하는 치유의 공간인 바람 미술관입니다.

 

수풍석 뮤지엄 제공

 

 

 

- 석 

단단한 상자 안, 암흑 속에 의도적으로 빛의 구멍을 내어 하트의 모양인 듯한 인공의 꽃으로 삼았습니다. 그 구멍을 통해 쏟아지는 빛을 주연으로 연출한다는 환상을 주며 관람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 속 심연을 바라보고 여행하게 하는 명상의 공간으로 설계했습니다.

 

수풍석 뮤지엄 제공

 

 

 

 

 

방주교회

2009

 

비 오는 날에 가면 더 운치 있는 방주교회는 노아의 방주를 모티브로 지어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입니다. 건축물은 절대 자연을 거슬러서는 안된다는 건축가의 설계가 곳곳에 묻어 있습니다. 

예배당 안에 앉으면 진짜 방주를 타고 물 위에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