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9)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라카미 작품을 살 수 없다면 먹어 보자. 무라카미 다카시(Murakami Takashi)가 일본 그랜드 하얏트 도쿄 롯폰기 힐즈에서 개최 중인 의 일환으로 탄생된 애프터눈 티 세트의 온라인 전개를 발표했다. 오직 호텔에서만 판매돼 아쉬워했던 팬들에게는 희소식이다. 시그니처 꽃을 활용해 귀여운 감성을 녹인 티 세트는 케이크, 스콘, 세이보리, 무스 등의 다양한 다과가 프리미엄 패키지와 보자기에 담겨 퀄리티를 높였다. 가격은 19만 원대. 매일 20개 한정으로 만나볼 수 있는 제품은 아쉽게도 일본 내에서만 판매되며 오는 1월까지 만나볼 수 있다고 한다. [준학예사] 최근 5년 이상 '한국사' 기출문제 [ 2020년 기출문제 ] 문제 1.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과학기술의 발달 중 인쇄술 분야는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다. 금속활자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50점) 1) 고려시대에 금속활자를 이요한 서적 간행 추이와 그 의의를 각각 설명하시오.(25점) 2) 조선 태종~세종대 금속 활자의 인쇄기술발달과 그 의의를 각각 설명하시오.(25점) 문제 2. 조선시대 과거제도에 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50점) 1) 에 규정된 문과 응시자격제한 중 3가지를 각각 설명하시오.(15점) 2) 생원진사시의 시험절차, 선발인원, 백패를 각각 설명하시오.(20점) 3) 잡과에 관하여 설명하시오.(15점) [ 2019년 기출문제 ] 문제 1. 고려 전기의 여러 사회 모순이 표출되면서 중기에는 무신 정권이 성립되었다... 어바웃 타임(ABOUT TIME)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창립 150주년을 맞아 미술관 부속 의상연구소(코스튬 인스티튜트)에서는 루이비통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 대규모 전시는 패션이 어떻게 시대의 거울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지난 한 세기 반 동안 이미지와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보여주면서, 시간 개념과 패션이 맺고 있는 불가분의 관계를 탐구한다. 1854년에 설립된 이래 루이 비통의 핵심은 장기적이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창조적 혁신이라는 아이디어이다. 그리고 그러한 독창성은 오늘날에도 여성 컬렉션의 아티스틱 디렉터 니콜라 제스키에르의 주도 아래 계속되고 있다. 2014년 데뷔 컬렉션 이후 제스키에르는 종종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환기시키는 레퍼런스가 결합된 스타일리시한 표현을 통해 시간과 우리의 관계를 탐구하고, 나아.. 360˚ VR로 전시를 보자 PKM 갤러리가 올 한 해를 마무리하고 2021년 새해를 여는 기획 전시 을 개최하고 있다. 격리와 비대면이 일상이 되며 사적인 주거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 또한 길어진 현 상황에서 PKM의 전시는 이 내밀한 개인 공간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다. 다양한 시기에 탄생된 미술품과 가구, 음악 사운드 등이 단순히 주거 공간의 장식을 위한 요소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서로 공존함으로써 고전의 '기품'과 젊은 시대의 시각적 '힙'함이 색달리 조화를 이루게 구성한 것이다. 전시품은 겸재 정선의 , 윤형근의 회화, 권대섭 도예가의 ,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 샘바이펜(Sambypen)의 캐릭터 회화 등 화려한 라인업으로 꾸려졌다. 동서고금의 작품들이 조화롭게 공존한 이번 전시는.. 라잇! 오션(Right! Ocean) 지난 여름, 갤러리아 광교점에서는 디자이너 문승지의 전시가 열렸다. 코로나로 인하여 차일피일 미루다 결국은 직접 못 보아 아쉬웠었는데, '코리아디자인어워드 2020'의 프로덕트 디자인부문의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얼마 전 접하고 온라인 상에서 다시 그 프로젝트의 취지를 상기하여 보고자 한다. 한화 갤러리아는 2019년부터 환경보호, 생명존중, 안전문화라는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소비 문화와 올바른 가치 확산을 위한 사회공험 캠페인 '라잇! 갤러리아 (Right! Galleria)' 를 진행하고 있다. 2020년에는 세계자연기금(WWF), 가구 디자이너 문승지와 함께 해양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라잇! 오션(Right! Ocean)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세계자연기금(WWF)에서 수거한 해.. [준학예사] 최근 5년 이상 '박물관학' 기출문제 박물관학 준학예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공통으로 박물관학 시험을 봐야합니다. 다행히 박물관학은 점수 올리기도 쉽고 공부량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박물관학(예문사, 윤병화) 한권만 제대로 봅시다. 단, 각주를 꼼꼼히 보시길 권합니다. 각주엔 기존에 기출된 부분이 많이 있거든요~ 책 보는 것이 귀찮으시면, 국립중앙박물관 사이버 강의 중 「박물관 전시기획을 위한 실무」를 수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이 사이버 강의로 분위기를 먼저 익힌 후에 책을 보았어요.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사이버 강좌로 연결됩니다. 최근 기출문제 최근 기출문제 정답 그 밖에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문화재 보호법 등 각종 관련 법(여기)을 한번 읽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큐레이팅도 크게는 작가와의 커.. 꽃과 함께 생명이 피어나다.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Stefano Boeri)는 내년 1월 초 광장에 놓일 백신 파빌리온을 디자인했다. 이 파빌리온은 Covid-19 특별 관리 국장인 도메니코 아쿠리(Domenico Arcuri)의 감독 하에 다음 달인 1월 내로 이탈리아 전역에 약 1,500개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올해 유럽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온 이곳 이탈리아에서는 이 파빌리온을 통해 약 340만 개의 화이자가 배포된다. 스테파노 보에리는 로고에서부터 임시 피발리온까지 anti-Covid19 캠페인의 전체 이미지를 통합된 디자인으로 도출했다. 분홍색의 앵초가 상징 로고이다. 앵초는 이탈리아 전역에 있는 생물다양성의 상징인 동시에 ‘생명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계속되는 재탄생’의 상징이기도 하다. 보에리는 앵초에 대해 설명하며,.. Connect with Everything 갤러리 바톤은 세계적인 현대미술가 미야지마 타츠오(Tatsuo Miyajima, b.1957)의 개인전 을 개최하고 있다. 미야지마는 LED, IC 등 전자소재가 가진 시각적 기능성을 자신의 조형언어로 승화시킨 미디어 기반 작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이다. 이번 전시는 대표작 LED 시리즈와 페이팅까지 작가의 커리어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이다. 미야지마의 대표작인 점멸하는 숫자 LED(발광 다이오드)는 1986년 도쿄예술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제43회 베니스 비엔날레(1988)의 연계행사로 열린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