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348)
작품 옆 이름표, 캡션 표기법 '캡션'이라고 불리는 예술작품의 설명은 표기가 제각각입니다. 개인전 도록은 물론이고 미술전문잡지나 서적에서, 미술 작품 사진의 설명 표기가 순서나 방법에서 통일되지 못하고 엉망인 채로 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수 많은 조각 문화재의 제작자와 제작년도를 모르고 있죠. 또한 초기 국전 입상작들의 도록을 봐도 그 크기가 얼마인지, 재료는 무엇으로 만들었는지를 작가가 생존하지 않으면 알 길이 없습니다. 현재도 각종 출간물에는 작가와 제목만 간략하게 표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이 표기는 미술사가나 평론가 혹은 후대의 사람들이 미술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기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미술정보의 전산화 등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한 첫걸음으로, 국내외 각종 단행본과..
현재 가장 강력한 듀오, 엘름그린 & 드라그셋 (Elmgreen & Dragset)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듀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독일 베를린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듀오 작가 엘름그린과 드라그셋 (Elmgreen & Dragset)입니다. 그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있는지 같이 한번 살펴 보아요~! 덴마크 출신의 마이클 엘림그린(Michael Elmgreen, b.1961)과 노르웨이 출신의 작가 잉가 드라그셋(Ingar Dragset, b.1969)으로 구성된 엘름그린 & 드라그셋은 1995년부터 함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를 쓴 엘름그린과 연극을 한 드라그셋은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며 작업을 이어 왔습니다. 이들이 처음 만난 것은 1994년 코펜하겐의 작은 게이바였다고 하는데요, 서로의 존재를 전혀 몰랐던 이들은 알고 보니, 같은 건물에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서양미술사 11. 야수파(현대) 모더니즘은 일방적으로 전통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구조로부터 탈피하려는 정신적 경향을 이르는 말로 현대주의 라고 번역되는 도시적이고 현대적인 감각의 작품을 말한다. 모더니즘의 전형적인 현상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여러 전위예술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배경 야수파(野獸派) 또는 포비즘(fauvism)은 20세기 초반의 모더니즘 예술에서 잠시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신적인 미술사조이다. 곧, 20세기 미술은 반자연주의를 기조로 하는 혁신적 유파(流派)와 사조가 어지럽게 뒤바뀌게 되지만 그 발단이 되는 것은 야수파의 운동이다. 1905년 살롱 도론느에 출품된 한 소녀상 조각을 보고 비평가 루이 보크셀이 마치 야수의 우리 속에 갇혀 있는 도나텔로 같다고 평한데서부터 유래된 명칭이다. 특징..
컬러가 오브제를 만났을 때, 윤소현 전시 에서는 다소 차갑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아크릴 소재에 노을과 물의 패턴을 담은 디자이너 윤소현의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 산업 소재로 익숙한 아크릴이 일상의 감성적 오브제로 변화된 모습은 전시장을 찾은 이들로 하여금 새로운 시각적 경험과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준비된 팔레트로 직접 색을 조합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연남동에 위치한 데스커 디자인스토어에서 만날 수 있었습니다. 윤소현 작가 아크릴이 지닌 고유의 물성인 투명성과 투과성을 탐구하며, 일상에서 발견한 이야기를 가구와 오브제로 전하는 윤소현은 서울과학기술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 미국 뉴욕 SVA(School of Visual Arts)와 터키 이스탄불의 ITU(Istanbul Technical University)에서..
서양미술사 10. 후기 인상주의(근대) 영국의 미술평론가 프라이Roger Fry(1866~1934)가 1910~1911년 겨울에 런던의 그래프론 화랑에서 기획, 개최한 전시회인 이란 표제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그러나 특정한 예술운동, 단일한 경향을 가리키는 말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모네(Claude Monet, 1840~1926), 피사로(Camille Pissaro, 1830~1903), 시슬리(Alfred Sisley, 1839~1899) 등의 인상주의와 단순한 점묘주의로서의 신인상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전개된, 보다 견고한 화면 구성을 구하려 했던 경향과 표현내용을 중요시했던 경향을 말한다. 배경 인상주의의 빛에 대한 집착성과 신인상주의의 과학적 표현에 반발하여 발생하게 되었다. 인상주의는 한 순간의 인상을 포착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었기 ..
서양미술사 9. 인상주의(근대) 인상주의는 색채와 빛의 회화이다. 1860년 초, 프랑스에서 발생하여 1886년을 기점으로 순수한 의미의 인상주의는 끝이 나지만 이후 모든 미술의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미술사조이다. 인상주의는 르네상스 시대의 산물인 원근법, 균형잡힌 구도, 이상화된 인물, 명암대조법 등을 거부하는 등 미술전통에 혁신을 가져왔다. 그 대신 인상주의자들은 색채와 빛을 통하여 찰나의 시각적 감각을 표현하려 했다. 배경 관학적인 화풍에 반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거세지기 시작하면서 마네를 중심으로 마네의 스튜디오에서 함께 새로운 미술의 방향을 실험하면서 인상주의 화풍을 탄생시켰고, 1874년부터 1866년까지 살롱전과 무관하게 독자적인 7번의 전시회를 개최한다. 사물의 발명은 인상주의를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물감튜브..
서양미술사 8. 사실주의(근대) 배경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격론이 오가는 사이 19세기 중엽 사실주의가 등장하는데, 사실주의는 신고전주의의 시대착오와 낭만주의의 도피주의를 비판했다. 동시대의 현실을 사회비판적인 관점에서 표현했으며, 사회의 여러 실상을 화가 자신이 본대로 그릴 것을 주장했으며, '현실을 보는 눈'이 이들의 공통관심사였다. 특징 사실주의는 실상 서구미술의 항구적인 지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상화된 리얼리즘을 추구했고, 헬레니즘은 자연주의식 리얼리즘을 르네상스시대에는 얀 반 에이크처럼 사진처럼 정확히 묘사해 냈으며, 바로크 시대에도 페르메어, 벨라스케스 처럼 놀랍게 현실을 묘사했다. 그러나 19세기 이전에는 그들의 주제를 이상화하거나 극적으로 다룸으로써 어느 정도 수정을 가했던 것이다. 이에 반해 19세기 사실주의는 ..
서양미술사 7. 낭만주의 (근대) 신고전주의에 맞서서 1800~1850년경 대두되었으며 감수성을 중시하고 합리주의에 반발한 미술경향이다. 객관보다 주관을 지성보다 감정과 직관을 중요시하며 개성을 존중하고 자아의 해석과 격정적, 정서적 자유를 구사했고, 상상을 무한대로 동경했고, 숭고한 비장감과 조국애 인간과 자연의 융합감, 형식보다는 표현을 추구하여 완전한 형태보다는 생생하면서 강렬한 색채를 중요시했다. 특징 신고전주의에 반발하고 나선 낭만주의는 앞서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인의 감정과 직관, 그리고 색채의 표현을 중요시했다. 제리코는 에서 극단적인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격정적 표현으로 낭만주의 시대를 열었다. 서사시적 드라마와 같은 제리코의 낭만적 감수성이 돋보인다. 들라크루아는 앵그르의 신고전주의에 맞선 낭만주의의 지도자였는데, 주로..

반응형